기후위기 시대의 축제 평가 항목,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지금까지 축제의 평가는 대부분 참가자 수, 경제적 파급 효과, 미디어 노출량 같은 정량적 수치에 집중돼 있었다. 하지만 기후위기가 본격화된 지금, 이런 평가 방식은 현실과 맞지 않는 낡은 틀이 되어가고 있다. 이제는 축제가 기후위기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지속가능한 운영 구조를 갖추고 있는지가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후위기 시대에 요구되는 축제 평가 항목의 변화, 그리고 앞으로 지자체와 정책 평가자들이 무엇을 새롭게 바라봐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기존의 평가 방식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기존 축제 평가지표는 대부분 관람객 수, 관광객 유입 증가율, 지역경제 효과(매출, 고용 창출), 언론 보도 횟수에 기반해왔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축제의 기후 회복력, 앞으로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것인가?
기후위기는 이제 축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모든 단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태풍, 폭염, 집중호우, 이상한파 등 다양한 기후 변수는 축제의 일정, 장소, 콘텐츠 구성에 실질적인 리스크를 가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기획자들은 이에 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러한 대응이 ‘있다/없다’ 수준의 체크리스트로만 평가되어 왔다. 이제는 축제가 기후 리스크에 얼마나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얼마나 빠르게 회복 가능한 구조를 갖추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즉 ‘축제의 기후 회복력(Climate Resilience)’ 평가 체계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축제의 회복력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기준과 지표로 평가할 수 있을지를 정리한다. 축제의 기후 회복력, 왜 지금 필요한가?‘기후 회..